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많은 분들이 65세 이후에도 경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실직이 발생했을 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죠. 이번 글에서는 65세 이상 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65세 이상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65세 이후에 취업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고용보험법상 65세 이후에 새로 취업한 근로자는 고용보험 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그 조건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65세 이상 실업급여 수급 조건
✅ 65세 이전부터 고용보험에 가입: 65세가 되기 전부터 계속 근무하며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 65세 이후에도 근속 유지: 65세 이전부터 가입된 상태에서 동일 사업장에서 계속 근무한 경우 가능합니다.
✅ 비자발적 퇴사: 본인의 의사가 아닌 회사의 경영난,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퇴사여야 합니다.
✅ 피보험 단위 기간 충족: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면 이직 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기록이 있어야 합니다.
3. 65세 이상 실업급여 예외 사례
▶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일용직으로 근무했던 분들은 마지막 근무일(65세 이전)과 새로운 근무일(65세 이후) 사이에 10일 미만의 공백이 있을 경우,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 상용직과 일용직 전환
만약 65세 이전에는 상용직으로 근무하다가, 65세 이후에 일용직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고용보험 가입이 지속되었다면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4. 65세 이상 실업급여 신청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또는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 실업급여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수급 요건 심사 진행
- 승인 후 구직 활동 이행 (지정된 횟수 이상 구직 활동 필요)
💡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5. 마무리
65세 이상이더라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실업급여 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해당하는지 꼼꼼히 확인해보고, 필요하다면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번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분들과도 공유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