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와 매도 뜻의 차이 잊지 않는 꿀팁 공개

부동산 초보자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매매'와 '매도'입니다. 특히 아파트나 토지를 거래할 때, 누가 파는 사람인지, 누가 사는 사람인지 헷갈리기 쉽죠. 저 역시 처음 부동산 용어를 접했을 때 마치 외국어처럼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아파트와 땅을 예로 들어 쉽게 설명하면, 이 개념들이 훨씬 명확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거래의 기본 용어를 쉽게 풀어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매매? 매도? 아파트와 땅으로 쉽게 풀어보는 부동산 용어
손-계약서


1. 매매란? 사고파는 그 ‘전체 거래’를 말해요

‘매매’는 한 마디로 부동산을 사고파는 전체 과정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한 채를 누군가 3억 원에 팔고, 누군가가 그걸 사는 상황을 생각해볼게요.

  • 판매자(파는 사람): 매도자

  • 구매자(사는 사람): 매수자

  • 이들이 서로 계약하고 돈을 주고받는 전체 과정이 바로 매매입니다.

쉽게 말하면, “나 이 아파트 매매했어”라는 말은 아파트를 팔거나 샀다는 뜻 모두 포함입니다.
중요한 건 ‘거래’ 전체를 의미한다는 점이에요.


2. 매도란? 내가 가진 것을 ‘파는’ 행동이에요

‘매도’는 내가 가진 아파트나 땅을 “팔겠다”는 행위 자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소유한 땅이 있는데 시세가 올라서 팔고 싶어졌다면?
“나는 지금 땅을 매도하려고 해”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매도자파는 사람

  • 반대로 사는 사람매수자

즉, 매도는 거래의 절반 내가 가진 것을 넘기는 쪽, 다시 말해 주인이 떠나는 쪽이 매도입니다.


🔵매매 매도 차이 꿀팁 공개전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글


3. 아파트로 비유해서 정리해볼게요

예시 상황:

A씨는 3년 전 분양받은 아파트를 4억 원에 팔려고 가정 해보도록 할게요
이 아파트를 B씨가 4억 원에 사기로 했다고 치면

  • A씨는?매도자 (팔려고 해요)

  • B씨는?매수자 (사려고 해요)

  • A씨와 B씨의 거래 자체는? → 매매

이처럼 ‘매도’는 파는 사람이 하는 행동, ‘매수’는 사는 사람이 하는 행동, ‘매매’는 둘이 만나서 이루어진 거래라고 보면 됩니다.


4. 땅 거래에서도 똑같이 적용돼요

부동산 거래는 아파트뿐만 아니라 토지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시골에 있는 땅을 팔려고 내놨다면, 나는 매도자이고
그 땅을 사고 싶은 도시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매수자입니다.
이 둘이 만나서 거래가 성사되면 매매 계약이 되는 거죠.


5. 혼동 방지 꿀팁! 이렇게 기억해보세요

  • 매도 = ‘도망간다’고 기억해보세요
    가진 걸 팔고 떠나는 사람 → 매도자

  • 매수 = ‘수집한다’고 외워보세요
    뭔가를 새로 사서 갖는 사람 → 매수자

  • 매매 = ‘맞물려 돌아가는 거래’
    두 사람이 만나 사고파는 전체 과정


마무리 – 매도는 팔고, 매매는 사고팔고!

부동산 초보자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매매'와 '매도' 용어를 아파트와 땅 예시로 쉽게 설명합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부동산 거래 기본 개념을 알려드려요. 이 글을 읽고 나면 부동산 용어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일상 속 예시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이제 누군가 “이 아파트 매도 나왔다더라” 하면, “아~ 그 집 주인이 팔겠구나!” 하고 쉽게 알게 될 겁니다. 부동산,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