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고용 보험 취업 후 실업 급여 받을 수 있다

65세 이상이라도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많은 분들이 나이가 많으면 실업 급여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오해하지만, 핵심은 ‘언제 고용 보험에 가입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65세 이전에 가입한 경우라면 퇴사 후에도 실업 급여 수급이 가능하며, 조건도 일반적인 실업 급여와 동일합니다. 반면 65세 이후에 처음 가입했다면 실업 급여 대신 다른 지원 제도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65세 이상 고령 근로자의 실업 급여 수급 조건, 실제 사례, 그리고 실업 급여 외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지원 제도까지 자세히 안내합니다. 나이 때문에 권리를 포기하지 말고 꼭 확인해보세요!


할아버지

65세여도 아직도 일할 수 있는데, 실업 급여는 받을 수 없다고요?

“65세 넘었는데도 아침이면 출근 준비를 합니다.
아이들 다 키우고 나니, 제 노후는 제가 책임져야 하니까요.”

하지만 문제는 이 다음이죠.
갑자기 회사가 문을 닫는다면, 혹은 계약이 해지 된다면?
이럴 때 젊은 사람들은 ‘실업 급여’ 라 도 받을 수 있지만,
65세 이상인 우리는... 정말 아무것도 받을 수 없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조금 복잡할 뿐, 방법은 있습니다.


1. 65세 이상은 고용 보험이 안 되는 거 아닌가요?

먼저 여기서 짚고 가야 할 건,
65세 이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실업 급여 대상이 안 되는 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핵심은 “언제 고용 보험에 가입했느냐”입니다.

만 65세가 되기 전에 고용 보험에 가입했다면
→ 이후 실직하더라도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유지됩니다.

만 65세가 된 이후 고용 보험에 처음 가입했다면
실업 급여는 받을 수 없습니다.
(대신 다른 혜택은 제한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즉, 65세 이전에 이미 고용 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실업 급여가 가능한 것이죠.


2. 어떤 경우에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

조건은 일반적인 실업 급여 수급 조건과 동일합니다.
단, 65세 이후라는 나이 때문에 생기는 오해와 혼선을 피해야 하죠.

실업 급여 수급 조건 요약

  • 이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고용 보험이 적용된 근무

  • 비자발적인 퇴사일 것 (권고 사직, 계약 만료, 경영상 해고 등)

  • 재취업 의지가 있는 상태 (구직 활동 의무)

예를 들어볼게요.


3. 예시 – 64세에 취업해서 66세에 퇴사한 A씨의 경우

A씨는 64세에 음식점에 정규직으로 취업했고,
회사 측에서 고용 보험도 정상적으로 가입했습니다.
그런데 66세가 되던 해, 가게 사정이 어려워 권고 사직을 받게 됐죠.

김 씨는 근무 기간 2년 중
고용 보험 적용 기간이 18개월이 넘었기 때문에
실업 급여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있습니다.


노인-일자리

4. 나이로 불이익 받지 않으려면, 이건 꼭 기억하세요

65세 이전부터 고용 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한다는 점
→ 이후 나이가 들어도 기존 가입 이력이 있다면 실업 급여 수급 자격이 있습니다.

일용직 · 단기직의 경우엔 근무 일수 체크가 핵심
일용직은 고용 보험에 1개월 10일 이상, 3개월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수급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실업 급여 신청 시 ‘퇴사 사유’ 확인은 필수
→ 자발적인 퇴사는 수급 불가이며, 부당한 권고 사직이라면 구제 신청도 가능합니다.


5. 실업 급여 외에 받을 수 있는 제도는 없을까?

고용 보험 실업 급여가 안 된다면, 다른 제도를 고민해야겠죠.

  • 근로 장려금(근로 소득이 있는 저소득 가구 대상)

  • 노령 연금 혹은 기초 연금

  • 취업 성공 패키지 참여 자격 (소득 요건 충족 시 가능)

그리고 지역마다 마련된 시니어 취업 지원 제도
경로 우대 일자리 창출 사업도 함께 확인해보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 나이는 숫자일 뿐, 권리는 권리입니다

많은 분들이 나이 때문에 ‘이미 늦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업 급여는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내가 일한 만큼 돌려받는 ‘당연한 권리’입니다.

65세 넘었다고 그냥 포기하지 마세요.
가입 시점이 언제였는지, 고용 보험 이력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보고,
당신의 권리를 지켜낼 수 있는지 다시 살펴보는 것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