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면적 평수 계산 방법 전용·공급 면적 차이 까지 알려 드려요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32평'이라는 숫자에 기대했지만, 막상 모델 하우스에 가보니 생각보다 좁고 답답하게 느껴진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죠? 그 이유는 바로 '전용 면적'과 '공급 면적'이라는 개념 차이 때문입니다. 이 두 면적의 차이를 잘 몰라서 실제 공간이 예상과 달라 당황하는 분들이 많아요. 이번 글에서는 전용 면적과 공급 면적의 차이를 쉽게 설명해, 앞으로 분양 정보를 볼 때 혼란 없이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면적 개념을 제대로 알면 내 집 마련 계획도 더 똑똑해질 거예요!

계산기-줄자

전용 면적과 공급 면적, 평수 계산법 진짜 쉬운 설명!

"생각보다 좁네?"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정말 그게 다였을까
처음으로 아파트 분양 광고를 봤을 때, 눈이 번쩍 뜨였어요.
"32평이라고? 딱 좋겠네!"
그런데 막상 모델하우스에 가보니 생각보다 좁고 답답한 느낌.
분명 32평이라고 들었는데 왜 이러지?

그때 처음 듣게 된 단어,
"전용면적", 그리고 "공급면적".
생각보다 이 개념을 잘 몰라서 손해 보는 사람 많습니다.
이제라도 확실히 알아두면, 적어도 면적 때문에 속상하진 않을 거예요.


1.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뭐가 다른 걸까?

1-1. 전용 면적이란?

→ 내 집에서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이에요.
거실, 방, 부엌, 화장실처럼 벽 안쪽 공간이 전부 포함됩니다.
즉, 이 면적은 내가 마음대로 꾸밀 수 있는 내 진짜 공간이죠!

예: 전용면적 59㎡ = 약 17.8평 (1평 = 3.3㎡ 기준)


1-2. 공급면적이란?

→ 전용면적 + 공용면적을 더한 전체 면적이에요.
공용면적은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홀 등
여러 세대가 함께 쓰는 공간이 포함된 크기입니다.

그래서 광고에 나오는 "공급면적 84㎡"는 실제 내 집보다 더 커보일 수 있어요.


1-3. 표로 쉽게 비교해볼까요?

구분 내용 포함 공간
전용면적 내가 직접 쓰는 공간 방, 거실, 주방, 욕실 등
공급면적 전용면적 + 공용공간의 일부 전용 + 복도, 계단 등
계약면적 공급면적 + 기타 공유공간 드물게 사용됨

2. 면적 평수 계산, 숫자 어렵지 않아요!

2-1. 공식 하나만 기억하세요!

  • 1평 = 약 3.3㎡ (제곱미터)

  • 계산법: 면적(㎡) ÷ 3.3 = 평수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글

2-2.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예시

예시 1. 전용면적 59㎡ 아파트

  • 59 ÷ 3.3 ≒ 17.88평

  • 이건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이에요

예시 2. 공급면적 84㎡ 아파트

  • 84 ÷ 3.3 ≒ 25.45평

  • 이건 복도나 복합공간 포함한 전체 면적

즉!
광고에서 말하는 25평 아파트 → 실제 내 공간은 17평 정도일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3. 면적 확인할 때 꼭 봐야 할 체크리스트

3-1. 모델하우스 크기 = 내 집 크기 아님!

모델하우스는 종종 "확장형" 구조를 보여주기 때문에,
내가 실제로 받는 공간보다 넓어 보일 수 있어요.

3-2. 계약 전, 꼭 전용면적 기준 확인

같은 공급면적이라도 전용면적이 더 넓은 곳이 좋아요.
공용공간은 결국 내 집이 아니기 때문이죠.

3-3. 등기부등본에서 전용면적 체크 가능

부동산 계약 시 등기부등본에서 면적 정보를 꼭 확인해 보세요.
생각보다 계약 면적과 다를 수 있습니다.


4. 실시간 면적 계산기 버튼으로 편하게 계산하세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평수 자동 계산이 가능해요!


마무리 한마디
집을 볼 땐 ‘평수’보다 전용면적을 먼저 보는 습관,
단순히 숫자보다 내가 실제로 누릴 수 있는 공간이 중요하다는 걸 꼭 기억하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