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희망 두배 통장 내 적금 만기 계산법 안내

 물가가 오르는데 월급은 제자리. 이런 시대에 '적금 하나쯤은 해봐야지'라는 생각, 다들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월급을 쪼개 모으는 것도 빠듯한데, 몇 년 모아서 겨우 이자 몇 만 원이라면 의욕이 떨어지죠. 그런 분들에게 서울시가 준비한 든든한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서울 희망 두배 통장 인데요. 이 통장은 단순한 저축을 넘어서, 서울시가 여러분의 적금을 '두 배'로 만들어 주는 제도랍니다.


도시-청년

서울시가 돈을 더해주는 ‘서울 희망 두배 통장’과 만기 계산법 안내


1. 서울 희망 두배 통장이란?

서울 희망 두배 통장은 단순히 ‘적금’이 아닙니다.
서울시가 근로 청년과 자영업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본인이 저축한 금액 만큼을 서울시에서 동일하게 적립해주는 매칭 적금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서울시도 10만 원을 적립해 주어서
매달 20만 원씩 쌓이게 되는 구조입니다.


2. 누가 가입할 수 있을까? (2025년 기준)

  • 만 18세 ~ 34세 이하 서울 거주 청년

  • 근로자 또는 소득이 있는 자영업자

  • 본인 소득 월 255만 원 이하

  • 부양 의무자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

※ 가구 기준 중위 소득은 매년 변동되며, 자세한 기준은 아래 링크 참고


3. 얼마씩 적금하고, 만기 시 얼마가 되는지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월 저축액은 보통
10만 원 또는 15만 원입니다.

예시 1 – 10만 원씩 3년간 저축

  • 내 저축: 10만 원 x 36개월 = 360만 원

  • 서울시 지원금: 동일하게 360만 원

  • 이자 포함 예상 만기금액: 약 730만 원 내외

예시 2 – 15만 원씩 3년간 저축

  • 내 저축: 15만 원 x 36개월 = 540만 원

  • 서울시 지원금: 동일하게 540만 원

  • 이자 포함 예상 만기금액: 약 1,095만 원 내외


4. 적금 만기 계산법 (공식)

아주 간단합니다.

[내 월 적금액] × [개월 수] × 2 + 이자
(서울시가 동일하게 매칭해주기 때문에 2를 곱함)

예:

  • 매달 10만 원 × 36개월 × 2 = 720만 원

  • 매달 15만 원 × 36개월 × 2 = 1,080만 원

여기에 은행에서 주는 이자(현재 기준 보통 2% 미만)를 합하면 총 만기 금액이 됩니다.


5. 활용 팁과 주의사항

  • 적금은 자동 이체를 설정해두면 잊고 살아도 됩니다.

  • 단, 중도 해지 시 서울시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니 꼭 3년간 유지해야 해요.

  • 통장 개설은 서울시와 협약된 은행에서만 가능하며, 매년 모집 일정이 다르므로 시청 홈페이지를 꼭 확인하세요.


🔵함께 읽으면 인생에 도움 되는글

마무리: 꿈을 실현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3년이라는 시간은 생각보다 빠르게 흘러갑니다. 그 시간 동안 매달 몇 만 원만 저축해도, 내 힘으로는 도달하기 어려운 금액이 만들어집니다.
‘희망 두배 통장’은 단순히 적금이 아니라, 내 미래를 위한 마중물이 되어줄 수 있어요.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싶은 청년이라면, 이 기회 절대 놓치지 마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